진단과 처방

무릎뼈 탈구... 제자리 돌아와도 골절 등 질환 확인해야

유나이티드병원 하남본원 2019. 9. 26. 16:00

무릎뼈 탈구는 비교적 흔한 진환이다. 인대가 느슨하거나, 뼈가 잘 못 정렬돼 있거나, 무릎 관절에 해부학적 이상이 있는 청소년에게 잘 발생한다.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을 하거나 운동을 하다가 순간적으로 무릎에 힘이 들어갈 때 발생하기도 한다. 넘어지거나 미끄러져서 무릎뼈가 탈구되는 경우도 있다.

무릎뼈 탈구는 무릎뼈 뒤쪽 연골 골절이나 허벅지뼈 끝의 작은 조각의 발생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조심해야 한다.

무릎뼈 연골까지 골절됐을 경우엔 골관절염으로 이어진다. 비정상적인 관절로 인한 무릎뼈 탈구는 치료 후에도 다시 탈구될 수 있다.


스스로 돌아와도, 골절 등 확인 위한 진단 필요

외관으로도 무릎뼈가 제자리를 벗어난 것처럼 보인다. 무릎뼈 아래에서 통증을 느낀다. 부기가 동반된다. 무릎을 똑바로 펼 수 없고, 걸을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하기도 하다.

무릎뼈 탈구는 의사의 진단을 받기 전 제자리로 돌아오기도 하는데, 이런 때에도 반드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다고 해도, 골절을 확인하기 위해 X레이로 정밀하게 진단한다.

​정복 치료 후 물리치료와 운동치료

하남 유나이티드병원은 손을 사용해 무릎뼈를 제자리로 돌려놓는 정복 치료를 한다. 이후 무릎 보조기나 고정기를 활용해 무릎의 안정성을 높인다. 몇 주에 걸쳐 착용하며 무릎을 안정화 시킨 뒤에는 근육의 강도를 높이고 무릎의 운동 범위를 넓히기 위한 물리치료와 운동치료를 한다.

이같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무릎이 불안정하거나 뼈가 골절되는 경우네는 수술을 통해 치료한다. 관절경 수술로도 치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