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칼럼 <1>] 담배를 끊어야 할 6가지 이유
금연 – 선택이 아닌 필수
새해마다 작심삼일 하게 되는 금연 결심, 올해엔 꼭 금연에 성공해야 하는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어 소개한다.
1. 갈수록 좁아지는 애연가들의 입지 : 금연구역 확대!
2015년 모든 음식점 금연구역 지정 및 흡연석 폐지
2016년 공동주택 금연구역 지정
2017년 당구장, 골프연습장 등 소규모 실내 체육시설도 금연구역 추가
2018년 유치원, 어린이집 경계선 10미터 이내 금연구역 지정 등 현재 학교, 의료기관, 고속도로 휴게소 등 140여만 개소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후 금연 구역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2. 갈수록 좁아지는 애연가들의 입지 : 담뱃값 인상!
2015년 담뱃값 인상으로 현재 1갑 평균 4500원이다. 실제로 2015년 담배가격 인상으로 담배 소비가 10억값이나 줄었다는 통계가 있다. 하지만 여전히 담배가격은 OECD 34개 국가 중 31등으로 최하위권에 있어 담배 가격으로 OECD 평균인 8000원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하루1갑 소비 기준으로 한달 담뱃값이 135000원 인데 만약 8000원으로 인상된다면 한달 담뱃값만 24만원이 되어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다.
3. 세계최고 수준의 금연치료 지원사업 : 금연은 공짜!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흡연자의 금연 노력을 신속하게 지원하기 위해 공단 사업비 형태로 ‘금연치료 건강보험 지원사업’을 실시 중이다.
①8-12주 기간 동안 6회 이내의 진료, 상담과 금연치료 의약품 또는 금연보조제 구입비용 지원 – 위 치료 과정을 연 3회까지 지원, 즉 12개월 중 9개월 지원
②금연치료를 위한 병의원 3회차 방문부터 본인부담 면제(약국포함)
③금연 치료 약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상품명 챔픽스(바레니클린) 약값이 1800원에서 1100원으로 대폭 인하
④첫 2회 방문 시 약값의 20% 에 해당하는 본인 부담률이 있으나 이마저도 금연에 성공하게 되면 환급 받을 수 있는 인센티브 있음 – 최소한 56일의 투약기간 필요
4. 감소하는 흡연율 : 남들도 다 금연한다는데!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 흡연율 : 남성 38.1%
#평생 담배 5갑 이상 피웠고, 현재도 흡연하는 사람의 비율
4. 흡연의 위험성 : 우리나라 사망원인 1,2,3등의 주범!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 암, 2위 : 뇌혈관질환 3위 : 심혈관질환 를 일으키는 공통 위험인자가 바로 담배다.
①니코틴 : 대마초보다 중독성이 강하며, 헤로인이나 코카인과 비슷한 정도입니다. 60mg 의 니코틴이면 1분 이내 사망할 수 있습니다. 체내에서 흡수가 잘 되는 물질로 흡연 시 7초만에 뇌에 도달하여 혈압과 맥박을 상승시킴으로써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됩니다. 담배 연기 속에 들어 있는 니코틴은 강력한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기 때문에 의학적으로는 마약으로 분류됩니다.
②타르 :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 복합체로 이 속에는 30가지 이상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만일 하루에 한 갑씩 1년 동안 담배를 피운다면 유리컵 하나에 가득 찰 정도의 타르를 삼키는 셈이 됩니다.
③일산화탄소 : 무연탄 냄새로 우리에게 알려진 물질로 자동차 배기가스에 있는 주요 독성 물질입니다. 혈색소에 결합하여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 감소로 모든 신체세포의 신진대사에 장애를 일으키고 노화를 가속화합니다.
5. 전자담배 : 나쁜 건 마찬가지!
시장점유율 5% 정도로 추정되는, 흡연자 중 10%가 사용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이 신종담배는 2017년 6월 iQOS를 필두로 Glo와 Lil 이 연이어 출시되면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궐련이 섭씨 800-850도의 온도로 담뱃잎을 가열하는 방식임에 비해, 이 신종담배는 섭씨 300-350도의 온도로 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연소(burn)가 아닌 가열(heat)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HEAT NOT BURN”
업체에서는 궐련에 비해 독성 성분이 90% 이상 적다라고 주장하지만, 업체의 후원을 받지 않은 독립적인 연구에서는 담배에 비해 덜 해롭다는 근거가 없었다.
다음은 영국의학저널, Tobacco control의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6. 3차흡연 : 눈에 보이지 않아 더 위험!
1차 직접흡연, 2차 간접흡연에 이어 3차 흡연이란 흡연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흡연자의 몸이나 옷, 벽, 가구, 아이들 장난감, 집먼지 등에 흡착된 뒤 다시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통해 담배의 독성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말한다.
생후 1년 미만 영아의 소변 내 니코틴 대사산물(코티닌)농도를 살펴보면
으로 흡연자가 집안에서 흡연을 하지 않더라도 신생아가 3차 흡연에 노출이 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