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 80~90%는 비수술치료로 회복
▶허리디스크, 요추 추간판 탈출증
#허리디스크는…
흔히 허리 디스크라 부르는 질환이다. 정식 명칭은 추간판 탈출증이다. 척추 사이에 위치해 충격을 완화해주는 젤 형태의 추간판이 흘러나와 신경을 눌러서 허리나 다리에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병이다.
#증상
요통과 다리 방사통이 대표적 증상이다. 신경 압박 정도와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다리로 전기오르듯 방사통을 호소한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통증이 증가되기도 한다. 드물게 신경근 압박이 심한 경우에는 보행시 하지의 힘이 빠져 다리를 절기도 한다.
-일반적 증상: 요통, 방사통(허리디스크로 신경이 눌려, 신경이 연결된 다리와 발에 생기는 통증)
-심해졌을 때 증상: 보행시 하지에 힘이 빠져 다리를 절게 됨, 대소변을 보는 힘도 약해짐
#처방
허리 추간판 탈출증의 80~90%는 비수술적 치료로 회복된다.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수일 동안 침상 안정을 취한다. 약물치료, 물리치료, 골반견인도 시행한다. 통증이 지속되면 도수치료를 한다. 전문 치료사가 특수 장비로 신경을 풀어주고, 수축된 근육을 이완시켜 증상을 완화한다.
통증이 가라앉으면 재활 치료로 척추뼈 주변 근육을 강화한다. 주변 근육이 허리를 떠받쳐야 재발 및 척추관 협착증으로 진행을 줄일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대소변 보는 힘이 약해지거나 다리 힘이 약해져 보행에 지장을 초래할 때 시행한다.
- 80~90%는 비수술 치료로 회복 가능
- 침상 안정(반듯한 자세로 누워있는 것)으로 자연적 회복 시도
- 약물(주사)치료, 물리치료, 골반견인
-도수치료를 통한 증상 완화와 회복
-재활치료: 통증이 가라앉은 시기를 활용한 척추뼈 주변 근육 강화, 이를 통한 재발 및 척추관 협착증으로의 진행 방지
- 보존적 치료로 회복되지 않을 때 수술 치료
“수술을 결정하기 전 마지막 진단을 유나이티드병원 하남본원에서 한 번 더 받아보세요. 허리디스크 수술은 신중하게, 정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김현철 유나이티드병원 하남본원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