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고유감각 확보기
고유감각은 관절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각이다. 이 운동은 주로 폐쇄역학적으로 한다.
밥스 보드(BAPS board)나 미니 트램폴린을 이용한다.
6) 심폐, 근지구력 운동
고정식 자전거를 타거나 수영, 수중 트레드밀 운동을 통하여 한다. 뒤로 달리기도 부하가 적어 도움이 된다.
심폐지구력 운동은 부상 초기부터 바로 시작해야 심폐지구력을 손실하지 않는다.
2002년 월드컵 주치의 김현철 박사가 설립한 유나이티드병원은 독일의 스포렉을 롤모델로 삼아 만들었다. 의료진이 물리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와 협력해 환자를 위해 최선의 치료법을 찾는 협진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했다.
[건강칼럼] 축구 무릎 재활<3> 조기 관절 가동 훈련기-유연성 회복을 관절 가동 훈련
4) 조기 관절 가동 훈련기 유연성 회복을 위한 관절 가동 운동을 실시한다. 이 운동은 관절을 부드럽게 해주며, 관절이 회복하는 데 영양 공급이 잘되며, 관절의 조직들이 정상�
unitedhospitalhanam.tistory.com
'축구의학(건강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칼럼] 축구 무릎 재활<6> 기능검사와 스포츠로의 복귀 (0) | 2020.07.29 |
---|---|
[건강칼럼] 축구 무릎 재활<5> 등속성운동, 플라이오메트릭 운동과 기능적 훈련기 (0) | 2020.07.27 |
[건강칼럼] 축구 무릎 재활<3> 조기 관절 가동 훈련기-유연성 회복을 관절 가동 훈련 (0) | 2020.07.22 |
[건강칼럼] 축구 무릎 재활<2> 근력 훈련 및 근육 강화 운동기 (0) | 2020.07.20 |
[건강칼럼] 축구 무릎 재활<1> 염증, 통증 조절기-염증이 있으면 부기는 최대한 빨리 빼야... (0) | 2020.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