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관절(고관절)은 해부학적으로 허벅지와 골반을 연결하는 부위를 말한다. 걷거나, 뛰거나, 발로 무엇인가를 걷어찰 때 허리와 다리를 연결하는 여러 근육군이 엉덩이 관절을 싸고 움직이게 된다. 무겁고 강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이 곳에 부상이 생기기도 한다.
남자 축구의 경우에는 엉덩이관절 주변의 부상이 모든 축구 부상의 5~12%에 이른다. 여자 축구에서도 4~5%나 된다.
엉덩이 관절 주변 부상을 입었을 때는 다음과 같은 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엉덩이 관절이 아플 때...
*일반적인 부상 부위
-대퇴 타박상
-대태 이두근 염좌
*덜 일반적인 부상 부위
-내전근 염좌
-대퇴이두근과 대퇴사두근의 건열 혹은 완전 파열
*특별히 주의해야 할 것
-급성 구획 증후군
-태퇴골 골절, 대퇴 이두근 경련
2002년 월드컵 주치의 김현철 박사가 설립한 유나이티드병원은 독일의 스포렉을 롤모델로 삼아 만들었다. 의료진이 물리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와 협력해 환자를 위해 최선의 치료법을 찾는 협진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했다.
'축구의학(건강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칼럼] 엉덩이관절 주변 통증의 원인(2)... 가장 흔한 사례는 디스크 탈출로 인한 좌골신경통 (0) | 2020.04.16 |
---|---|
[건강칼럼] 엉덩이관절 주변 통증의 원인(1)...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근육이나 힘줄의 부상 (0) | 2020.04.10 |
[건강칼럼] 회전근개 부상과 충돌증후군... 두고 두고 문제 일으키는 고질병 되지 않게 주의해야 (0) | 2020.04.03 |
[건강칼럼] 견봉쇄골관절 탈구... 부분 파열일 땐 비수술 치료 가능, 3개 인대 모두 끊어지면 수술 고려 (0) | 2020.04.01 |
[건강칼럼] 어깨 관절의 급성 탈구 및 재발성 탈구... 처음 탈구 때 좋은 치료 받아야 습관성 탈구 방지 (0) | 202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