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과 처방

박리성 골연골염... 보존적 치료 핵심은 휴식

▶박리성 골연골염


박리성 골연골염은...

박리성 골연골염은 연골 밑부분 뼈 일부가 부분적으로 혈액을 공급받지 못해 괴사하고, 이에 연골 일부분이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 뼈와 분리되는 질환이다. 떨어져나간 연골 조각이 정상 연골을 손상시킨다. 발목 관절 아래쪽 뼈인 거골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발생한다. 


치료 안하면 발목관절염으로 확대

통증이 있다가고 한동안 잠잠해져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분들이 상당수다. 하지만 박리성 골연골염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발목 관절염으로 확대될 수 있다. 병이 커지면 인공관절수술, 발목관절유합술 등 큰 수술을 받아야 한다. 회복 후 활동에 제약이 있다.

야외 활동을 하다가 삐끗한 후 통증이 계속 나타나지는 않지만 간헐적으로 지속되거나, 발목 통증이 있어 치료를 받아도 증상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MRI 검사로 연골 손상 여부를 진단해야 한다. 

보존적 요법의 핵심은 발목 휴식

보존적 요법의 핵심은 발목을 쉬게 해주는 것이다. 연골 손상 초기에는 보조기를 통해 수주 동안 체중 부하를 하지 않는 것으로 치료한다. 이같은 방법으로 호전되지 않으면 수술을 시행한다.

수술적 요법은 크게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방법과 절개를 통한 방법이 있다.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그 방법을 결정한다.

관절내시경을 통한 방법은 연골 손상 부위를 다듬어주는 변연절제술과 미세천공술이 있다. 미세천공술은 연골이 닳아 뼈까지 노출된 경우에 뼈에 미세한 구멍을 내고 피가 나게 해서 연골을 재생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심할 땐 연골 이식... 전문의 경험 중요

연골병변이 진행해 광범위한 경우엔 연골을 이식한다. 자가연골이식술과 자가연골배양이식술이 있다. 자가연골이식술은 무릎에서 뼈와 연골을 채치해 이식하는 전통적 방식이다. 최근에는 무릎에서 본인의 연골을 소량 채취해 배양시켜 활용하는 자가연골배양이식술이 시도되고 있다. 수술이 까다로워 전문의의 경험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