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탈구 - 외상성 전방 불안정
통증 극심... 어깨뼈 맞춘 후 3~4주 보조기 착용
스키를 타거나, 농구나 축구를 하다 넘어져 어깨뼈가 이탈할 때 발생한다. 통증이 극심하다. 진단 후 제자리로 넣어야 한다. 어깨뼈를 맞춘 후 3~4주 보조기를 착용한다. 어깨 안에 찢어진 조직이 아물도록 시간을 줘야 한다. 간혹 어긋난 팔뼈가 신경을 자극해 마비 증상이 올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다시 탈구되는 확률 높아 조심해야
10대 후반이나 20대 선수들은 어깨가 처음 빠진 후 다시 탈구되는 확률이 높다. 조기에 복귀해야 할 때는 첫 탈구 때 관절내시경 수술로 꿰맨다. 일반인은 처음 탈구 때 보조기를 3~4주 착용 후 재활운동을 하며 근력을 보강하며 추이를 지켜본다. 지속적으로 어깨가 불안할 때는 관절경수술이 필요하다.
'진단과 처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랩병변... 단순근육통 착각 방치하는 경우 많아 (0) | 2019.06.14 |
---|---|
햄스트링파열... 초기 보존적 치료 잘해야 재발 줄인다 (0) | 2019.06.14 |
피로골절... 원인 못찾으면 치료해도 재발 (0) | 2019.06.13 |
박리성 골연골염... 보존적 치료 핵심은 휴식 (0) | 2019.06.13 |
손목건초염... 엄지 손가락 통증 (0) | 2019.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