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구의학(건강칼럼)

[건강칼럼] 축구 머리, 신경계 질환 <2> 실신, 어지럼증, 발작이나 경련

2. 실신(갑자기 의식을 잃을 때)과 정신이 아찔함을 느낄 때

실신은 근육에 힘이 빠져 제대로 서 있지 못하고 쓰러지며 의식이 없는 상태를 말하고, 아찔하다는 것은 근육에 힘이 빠지며 의식이 없어지는 것과 같은 감각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실신은 대부분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며 현기증을 느낀다거나 바닥이 흔들리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며, 흔히 실신 전에 하품을 한다거나 구역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갑자기 눈앞이 깜깜해지면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다. 때로는 이런 사전 증상 없이 바로 의식을 잃고 실신할 수도 있다. 쓰러진 후에는 곧바로 의식을 회복해 일어나며 대부분 다른 증상을 동반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는 아주 다양한데 신경 조절 이상에 의한 경우와 심장 이상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 신경 조절 이상에 의한 경우는 정상인에서 특히 청소년기에 잘 나타나며, 덥고 사람이 많이 모인 장소와 같이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거나 공포심을 느끼거나 너무 피곤할 때 잘 나타나는 등, 특별한 계기가 없어도 나타날 수 있다. 오랫동안 움직임 없이 서 있을 때 혈압이 떨어져 실신할 수 있다. 심장에 의한 경우 심장박동수가 너무 느려지거나 너무 빨리 뛰는 부정맥에 의한 것이 가장 흔하며 심근경색증, 판막질환, 심근증과 같은 심장 질환이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그 외에도 소변이나 배변 후에 나타날 수 있으며 기침을 심하게 한 다음에 발생하기도 한다. 간질이나 중풍과 같은 뇌혈관질환이나 저혈당, 빈혈에 의해 의식이 혼미해지기도 한다. 기온이 높은 곳에서 힘든 시합을 할 때 탈수 증상으로, 체온이 상승하여 의식을 잃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선수의 탈수 상태와 체온을 점검한 후 수분을 보충해주고 체온을 떨어뜨려주면 서서히 회복된다.

의식을 잃고 쓰러진 사람을 발견할 때에는 초기 조치로 먼저 똑바로 눕히고 꽉 조이는 옷을 입었다면 옷을 풀러 헐렁하게 해주며 고개를 옆으로 돌려 혀가 기도를 막지 않도록 해준다. 얼음이나 찬물을 얼굴과 목 부위에 뿌려 정신을 찾도록 해주며 몸은 담요 등으로 싸서 따뜻하게 해준다. 의식과 감각이 다 돌아오기 전까지는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일어나서도 잠시 동안 다른 증상이 나타나는지, 쓰러지지 않는지를 관찰해야 한다. 권장되는 점은 청소년기에 흔한 신경 조절 이상에 의한 실신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정이 격해진다거나 심한 피로가 심한 공복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혈압이 떨어져서 생기는 경우에는 갑자기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는 것을 피하고, 일어나기 전에 다리 운동을 적당히 한 후에 서서히 일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일어나 걸으려 할 때 현기증을 느끼면 잠시 의자에 걸터앉아 다리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이러한 환자들은 의식이 완전히 없어진 채로 쓰러져 주위 사물에 얼굴이나 머리를 부딪쳐 크게 다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현기증이 나거나 실신하기 전에 나타나는 증상을 느끼면 바로 자리에 주저앉아 크게 다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증상은 반복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찾아가 원인을 밝혀 치료를 해야 한다.

Tip.
실신은 갑자기 의식이 없어지며 쓰러지는 것으로 실신을 할 것 같으면 바로 주저앉아 큰 부상을 예방해야 한다.

3. 어지럼증을 느낄 때

어지럼증이란 머리가 몽롱해지거나 아찔한 증상을 느끼며, 주위 사물이나 자기 몸이 빙빙 돈다거나 자신의 몸이 흔들려 몸을 가누기 힘든 경우를 말한다. 주위 사물이나 자신이 빙빙 도는 것과 같은 회전 감각을 느끼는 어지럼증을 진성현훈(眞性眩暈)이라고 하며, 그 밖의 비회전성의 어지럼증을 가성현훈(假性眩暈)이라고 한다. 진성현훈은 대부분 귓속에 있는 몸의 평형을 잡아주는 기관에 이상이 있거나 뇌의 이상으로 생기며, 가성현훈은 빈혈이나 혈압 이상, 근수축성 두통뿐만 아니라 뇌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초기에 운동을 하다가 머리를 부딪친 후에 어지럼증을 느끼면 두부가 손상되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유소년기에 흔한 목감기가 심하게 걸린 경우 바이러스가 귓속에 염증을 일으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 귀가 멍하거나 귓속에서 소리가 들리기도 하고 통증을 느끼며 진물이 나오기도 한다. 염증 없이도 귓속에 질환이 있으면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비인후과 진찰을 받도록 해야 한다. 최근 안경이나 렌즈를 낀 경우나 담배를 많이 피운 후에도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안과에서 자신의 안경이 적절한지를 확인해야 하며 담배는 건강에 치명적이므로 즉시 끊어야 한다. 특별한 이유 없이 어지럼증을 심하게 느끼면 침상에 누워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반복되면 병원을 찾아가 원인을 밝혀 치료를 받아야 한다.

Tip.
운동을 하다가 머리를 부딪힌 후에 어지럼증을 느끼면 두부가 손상되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금연 칼럼 <1>] 담배를 끊어야 할 6가지 이유

금연 – 선택이 아닌 필수 새해마다 작심삼일 하게 되는 금연 결심, 올해엔 꼭 금연에 성공해야 하는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어 소개한다. 1. 갈수록 좁아지는 애연가들의 입지 : 

unitedhospitalhanam.tistory.com



4. 발작이나 경련을 일으킬 때

일시적인 뇌 이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의식 상태 변화와 전신 또는 일부 근육에 발생하는 발작적 운동을 보이거나 정신 착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반복적으로 경련을 일으키는 질환을 간질이라고 하나, 간질이 없어도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경련은 간질, 전해질 이상, 약물 중독, 알코올 금단이나 뇌출혈 등과 같은 뇌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경련을 일으킬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아주 다양하여 전신적인 발작에서부터 미세한 근육 떨림이 있기도 하며, 짧은 시간 동안 기억을 상실하거나, 이상한 냄새를 느끼거나, 국소적인 감각 이상을 느끼기도 한다. 수초간 지속되는 것에서부터 치료를 하지 않으면 멈추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발작 후 일정 시간 의식 혼미 상태에 있다가 정상 의식을 회복하며 당시 상황을 기억하지 못한다.

경련이나 간질이 있으면 뇌파검사나 머리 CT 또는 MRI 사진으로 진단한다. 선수가 경련을 일으키면 재빨리 주변 사람들을 조용히 시키고, 발작을 일으키면 땅에 눕히고 주위에 다치게 할 것들을 치우고 머리 뒤에 부드러운 것을 대어 약간 올려주며, 꽉 조이는 옷을 입었다면 옷을 풀러 헐렁하게 해준다. 경련을 하지 못하게 몸을 묶어서는 안 되며, 계단이나 풀장 주위와 같이 위험한 장소가 아니면 옮길 필요는 없다. 경련 중에 혀나 치아를 보호하고 입 안이나 치아 사이에 압설자 같은 물건을 넣어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경련은 치료 없이도 자연히 멈춘다. 경련을 멈춘 후 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토한 것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모로 눕혀주어야 한다. 의식이 완전히 돌아올 때까지는 아무것도 먹어서는 안 된다. 생애 처음 경련이 일어난 선수는 원인을 밝히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아야 한다. 경련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의식을 찾지 못한 채 반복적으로 경련을 일으키는 경우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므로 즉시 병원으로 후송해야 한다. 머리 부상을 당했거나 경련을 일으킨 선수는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비록 자주 일어나지는 않지만 가벼운 머리 부상을 당한 1주일 후에도 경련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즉시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Tip.
생애 처음 경련이 일어난 선수는 원인을 밝히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아야 하며, 머리 부상을 당했거나 경련을 일으킨 선수는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2002년 월드컵 주치의 김현철 박사가 설립한 유나이티드병원은 독일의 스포렉을 롤모델로 삼아 만들었다. 의료진이 물리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와 협력해 환자를 위해 최선의 치료법을 찾는 협진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했다.

 

[건강칼럼] 축구 머리, 신경계 질환 <1> 두통

1. 머리가 아플 때(두통) 1) 원인 두통의 원인은 아주 다양한데 크게 나누어 뇌종양, 뇌출혈, 뇌염 등과 같이 뇌나 신경 계통의 이상으로 두통이 나타나는 것을 2차성 두통이라고 하며, 긴장성 두��

unitedhospitalhanam.tistory.com

 

유나이티드병원

경기 하남시 미사강변대로 48

map.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