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어깨관절 부상의 원인, 부상 기전, 위험 인자
축구로 인한 어깨 부상 대부분은 경기 중 넘어질 때 발생하며, 넘어지는 자세에 따라 부상의 형태도 달라진다.
손을 짚고 넘어질 때에는 상완골 골절, 회전근개 부상, 관절순 부상, 탈구 등의 부상이 주로 발생한다. 어깨가 직접 지면과 닿을 때에는 견봉쇄골관절 부상, 쇄골 골절 등이 발생한다.
순간적인 외상없이 반복 동작 때문에 발생하는 과사용성 부상도 있다. 이때는 원인 요소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반복되는 드로우인 연습이나 골키퍼의 던지기 연습 때문에 생기는 건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증상 치료 외에도 던지기 자세 교정 작업이 필요하다.
2002년 월드컵 주치의 김현철 박사가 설립한 유나이티드병원은 독일의 스포렉을 롤모델로 삼아 만들었다. 의료진이 물리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와 협력해 환자를 위해 최선의 치료법을 찾는 협진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했다.
[건강칼럼] 축구 어깨 부상 <1> 어깨 부상과 재활 (1) - 생체역학적 해부학과 기능
1. 생체역학적 해부학과 기능 어깨관절은 모든 스포츠에서 기능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야구, 테니스 등과 같이 어깨의 기능이 경기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종목뿐 아니라 축
unitedhospitalhanam.tistory.com
유나이티드병원
경기 하남시 미사강변대로 48
map.kakao.com
'축구의학(건강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칼럼] 축구 어깨 부상 <4> 부상의 종류별 치료 (2) 상완골 골절 (0) | 2021.01.06 |
---|---|
[건강칼럼] 축구 어깨 부상 <3> 부상의 종류별 치료 (1) 쇄골 골절 (0) | 2021.01.04 |
[건강칼럼] 축구 어깨 부상 <1> 어깨 부상과 재활 (1) - 생체역학적 해부학과 기능 (0) | 2020.12.28 |
[건강칼럼] 축구 척추 부상 <8> 척추의 재활 (2)와 운동으로의 복귀 (0) | 2020.12.23 |
[건강칼럼] 축구 척추 부상 <7> 척추전방전위증과 척추의 재활 (1) (0) | 2020.12.21 |